ㅇ DI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활용할 수 있는 로직에 대해 명확하게 파악해보기
연습 1번
-- calculator (계산하는 함수만 들어가는 class) - 이함수는 의존하는 아이가 씀
-- MyCalculator 는 calculator 가 필요
-- TestMain 은 MyCalculator 가 필요
-- calculator 형 빈도 만들어져 있어야 하고 MyCalculator 형 빈도 생성 되어 있어야 함
-- MyCalculator 안에 calculator 가 포함 될 수 있도록
1. 함수를 써 놓은 Calculation 생성하기
2. pom.xml에 lombok 추가해주기
3. Calculation 에 들어있는 함수를 가져다 쓰는 의존하는 아이를 만들기 - MyCalculator
--1) Calculator 를 의존한다는 것 표현해주기
--2) num1과 num2 선언해주기
--3) @Data 써서 getter setter 쓸 수 있게끔 해주기
--4) public void 해서 함수 만들어주고 그 안에 calculator 에 만들어 놓은 함수 호출하기
3. src/main/resources에 가서 applicationCTX1 생성해주기
--1) Calculator 관련한 <bean>태그 생성해주고 id는 내 마음대로 이름 붙이고, class는 동일한 패키지 이름을 써주기
--2) 진짜 의존하는 Mycalculator 관련한 빈 써주기
--3) 만들어 놓은 MyCalculator 내부에 property 값의 name에 1번에 쓴 calculator 써주기
--4) 첫번째 property 는 객체데이터타입으로 만들어 놓은 calculator bean참조 , 두번째 세번째는 num1에 해당되는
property 와 value값 설정
4. src/main/java 의 com.lec.ch02.ex1_cal 에 메인함수 만들기
--1) 파싱하는 로직 써주고
--2) MyCalculator 변수 불러와서, 만들어 놓은 bean 넣어주기
--3) 생성해놓은 변수로 함수 불러오기
--4) close해주기
연습2
1. BMICalculator 생성하기
* BMI 지수 계산할때만 이아이에 의존에서 사용할 것
2. 의존하는 아이 MyInfo 만들기
3. 메인함수에서 MYinfo를 객체로 받아 쓸 예정이기때문에 얘를 쓰려고 객체를 봤더니, bmicalculator 도 new해서 만들어 집어넣어야함 -> 파싱하는 xml 만들러가기 ,,main 에서 필요한 애는 Myinfo 이고, Myinfo는 또 bmicalculator를 의존하기 때문에 의존하는 애부터 만들어줘야함
4. applicationCTX2.xxml 생성해주기
5. MyInfroTestMain 해주기
연습3
생성자 함수 없는 방식 어떤식으로 활용되는지 공부해보기
1. Student 만들기
2.
3.
4.
5.
연습4 (인터페이스예제)
Vehicle
연습 5
Exam (인터페이스예제)
1. Exam 인터페이스 생성해주기
2. ExamImpl 에서 함수 만들어주기
3. ExamConsole 인터페이스 만들어서 출력용 만들어 주기
4.
'LANGUAGE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7 외부파일을 이용한 설정 (2) | 2022.07.13 |
---|---|
SPRING #6 빈의 생명주기 (0) | 2022.07.13 |
SPRING #5 DI 자동설정 (0) | 2022.07.13 |
SPRING #2 프로젝트생성하기 (0) | 2022.07.12 |
SPRING #1설치하기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