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DI 개념에 대해 명확하게 공부하고, 소스 흐름 파악하기
방법2
외부에서 값을 바꿔도 좋으니 자바소스를 안건드리고 싶을때 방법 1를 사용하면 됨
1. src / main/ resources 에 num1과 num2의 값을 정해줄 수 있는 아이를 만들어주기
2. resources 아래에 applicationCTX 파일이름 만들기 확장자가 자동으로 xml 이 붙게됨
3. 이제부터 필요한 아이들은 appkicaionCtx.xml에 만들어 놓고 필요할때마다 이 친구들을 주입시키는 방식을 사용 할 것
-- 1) <bean>의 객체를 먼저 생성
* 빈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매개변수 없는 생성자함수가 꼭 만들어져 있어야 함
-- 2) <bean>객체 안에 <property> 세팅해준뒤 value값 세팅하기 . property 에서 name에서 불러오는 아이들은 getter을 호출하는 것과 동일
4. 메인함수로 돌아가서
xml을 파싱하라고 시킨다음에 거기에 있는 아이를 외부에서 주입하기
AbstractApplicationContex ctx = 파싱한 아이의 객체가 담길 그릇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 = 괄호안에 있는 아이에 있는 객체를 파싱하는 아이
즉 ctx는 파싱된 객체
xml을 파싱해서 빈을 만들어 놓은 것을 IOC 컨테이너라고 함 (빈이 만들어지는 것 자체가 xml을 파싱해야 가능함)
여기서 classpath:applicationCtx.xml 에서 미리 스프링컨테이너에 객체를 만들어 놓고